자기결정권, 문화예술교육-소통, 정책-발달 장애인 복지법, 탐색과 표현-소통과 이해, 발견과 등장-관점의 전환
발달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
발달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을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발달장애인 문화예술교육 포럼] "모든 것에는 이야기가 있다" 포럼 주제를 소개합니다.
SECTION 1. 발달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환경과 정책방향
좌장 | 최혜자 ((주)문화디자인자리 최혜자 대표/책임연구원)
영상 | 발달장애인의 세계 - 발달장애인의 문화적 권리와 현실
발제 | 발달장애인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방향과 과제(최혜자)
토론 | 김소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박근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최 진 (대구교육대학교 교수/공동연구원)
오세형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전략기획부장)
우수명 (대림대학교 교수 / 공동연구원)
SECTION 2. 발달장애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방향과 원리
좌장 | 최 진 (대구교육대학교 교수/공동연구원)
영상 | 발달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말, 그림, 몸짓
발제 | 발달장애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방안(최선영)
토론 | 김도현 (노들장애학궁리소, 장애학의도전 저자)
김인규 (예술가), 남인우 (극단 북새통 대표)
신상미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예술지원부장)
최선영 (유구리최실장 대표 / 공동연구원)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