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네디센터 2025 장애예술 리더십 국제 컨퍼런스 개최
케네디센터 부설 접근성 및 장애예술 사무국 Office of Accessibility and VSA은
2025년 8월 18일부터 8월 22일까지 클리블랜드 헌팅턴 컨벤션센터 Huntington Convention Center of Cleveland에서 <2025 장애예술 리더십 국제 컨퍼런스 Leadership Exchange in Arts and Disability 2025 conference, 영문약자 LEAD®>를 개최했다.
리드 LEAD® 컨퍼런스는 다양한 문화예술 기관∙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장애예술 및 문화접근성 업무 실무자들 상호간 지식정보 공유, 네트워크 구축, 실무 전략 및 노하우 교류 등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 2019년 창설되어 올해로 7회째를 맞이하게 되었다.
실무역량 워크숍, 주제별 세션, 부스 전시, 문화접근성 어워드 등 5일간 펼쳐질 100여 개의 풍성한 컨퍼런스 프로그램
작년에는 7개국 540개 기관 1,000여명의 관계자가 컨퍼런스에 참여한 바 있으며, 올해 컨퍼런스는 8월 18일부터 22일까지 5일간 ‘포용적 청소년연극 제작 사례 Create Your Own Inclusive Youth Theatre Ensemble’ 등 실무자들을 위한 20여 개의 역량 개발 워크숍, ‘소셜 미디어와 문화접근성 Accessibility in the Social Media’ 등 90여개의 주제별 세션, 기관 및 관계자 교류를 위한 부스 전시, 문화접근성 어워드 등 100여 개의 풍성한 프로그램들로 기획되었다.
실무역량 개발 워크숍 주요 프로그램 (8.18-8.19)
▸ 포용적 청소년연극 제작 Create Your Own Inclusive Youth Theatre Ensemble
∙ 산학협력을 통한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청소년 포용적 연극 제작 사례
∙ 샤나 소렐스 Shanna Sorrells (극단 이미지네이션 스테이지 매니저)
▸ 예술교육으로서 휠체어 댄스 Dancing Wheels’ T.E.A.M. Principles for the Classroom
∙ 예술강사 및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휠체어 댄스 교육 방법론
∙ 메리 베르디 플레쳐 Mary Verdi-Fletcher (댄싱 휠즈 설립자 겸 예술감독)
▸ 장애인 관람객들을 위한 미술관 다중감각 전략 개발 (Developing Multisensory Strategies to Engage All Audiences)
· 장애유형별 관람객 다중감각 전략 개발을 위한 분임 워크숍
· 애니 리스트 Annie Leist (미술작가, 모마 미술관 접근성 프로젝트 주관) 등
주제별 세션 주요 프로그램 (8.20-8.22)
▸소셜 미디어와 문화접근성 Accessibility in the Social Media
· 대안적 텍스트, 자막, 접근성 디자인 등을 활용한 소셜 미디어 콘텐츠 만들기
· 레지나 맥도날드 러시안 Regina McDonald Russian (디지털 접근성 전문가)
▸릴렉스드 퍼포먼스의 이론과 실제 Relaxed Performances : From Vision to Practice
· 공연예술 장르를 넘나드는 새로운 릴렉스드 퍼포먼스 제작 방법론
· 미란다 호프너 Miranda Hoffner (링컨센터 공연예술 접근성 디렉터)
▸접근성에 기반한 문화공간 조성과 운영 Cultural Spaces Design Forum
· 건축 디자인, 디지털, 시설 운영 관점에서 접근성과 문화공간을 주제로 한 포럼
· 애런 웡 Aaron Wong (건축가), 미셸 쿡 Michelle Cook (포용적 디자인 전문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