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음 온라인 > 문화소식 이음 온라인 > 문화소식_ > 다이얼로그 03: 해파리 만개에 관한 기록
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화소식

음악 다이얼로그 03: 해파리 만개에 관한 기록

포스터 중앙에는 얼음 조각이 서로 얽혀있는 듯한 추상적인 회색 조각들이 표현되어 있으며, 물이 튀는 듯한 질감이 배경을 채우고 있습니다. 얼음 조각은 약간 기울어진 직사각형 형태로 중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좌측 상단에는 보라색 글씨로 '김초엽 Kim Choyeop', 중앙 상단에는 보라색 폭발형 도형 안에

종료

다이얼로그 03: 해파리 만개에 관한 기록 간단한 소개 테이블
일정

1회차: 2024년 10월 11일(금) 19:30
2회차: 2024년 10월 12일(토) 16:00

아티스트 토크: 2024년 10월 12일(토) 17:30

관람시간 금 오후 7시 30분 / 토 오후 4시
입장료 10,000원
장소 서울대학교 제1파워플랜트 68동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1, 1층)
예매 구글폼을 통한 접수 (선착순 마감)
주관 서울대학교 문화예술원
주최 서울대학교 문화예술원
접근성 정보
SNS

요약설명

다이얼로그 03: 해파리 만개에 관한 기록

 

기간: 2024년 10월 11일(금)~2024년 10월 12일(토)

 

공연
1회차: 2024년 10월 11일(금) 19:30
2회차: 2024년 10월 12일(토) 16:00

 

아티스트 토크
2024년 10월 12일(토) 17:30

 

시간: 금 오후 7시 30분 / 토 오후 4시
장소: 서울대학교 제1파워플랜트 68동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1, 1층)
관람시간: 60분
티켓: 1만원
예매: 구글폼을 통한 접수 (선착순 마감)

○ 주최·주관: 서울대학교 문화예술원

 

관람 안내
- 객석은 비지정석으로 운영되며, 공연을 관람하실 분들은 사전예약이 필요합니다. 
- 아티스트 토크는 별도의 예약 없이 참석 가능하며, 문자통역이 진행됩니다. 
- 장애인 화장실이 있습니다. 
- 모든 공간은 휠체어 접근이 가능합니다
- 택시 이용 시 건물 앞 잠시 정차가 가능합니다
 

자세한 소개

서울대학교 문화예술원은 [다이얼로그 Dialogue] 시리즈의 세 번째 시즌으로 <해파리 만개에 관한 기록> 공연을 2024년 10월 11일(금), 12일(토) 양일간 서울대학교 제1파워플랜트에서 개최한다.

 

문화예술원의 [다이얼로그] 시리즈는 각기 다른 영역에서 흥미로운 행보를 보이고 있는 두 아티스트/스튜디오/기업을 충돌시켜, 그들이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내며 모호하지만 새로운 영역에 대해 탐구하고 공유하는 가치와 질문을 발견하는 과정을 기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 번째 다이얼로그의 주인공은 대한민국 대표 SF 소설가 김초엽과 대중음악계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얼트 일렉트로닉(ALT Electronic) 듀오 해파리(HAEPAARY)이다. 두 아티스트는 8개월간의 ‘대화 dialogue’를 통해 보편성과 특수성, 사회에 만연한 능력주의(에이블리즘), 무가치의 쓸모 등의 주제에 대해 탐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결과물을 제작하였다. 김초엽 작가는 초단편 연작 <해파리 만개에 관한 기록>을 집필하였으며, 해당 소설은 공연 관객 한정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해파리는 김초엽 작가가 그려낸 소설 속 세계관을 자신들의 음악으로 풀어내며 양일간의 공연을 통해 공감각이 통합된 독보적인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 참여 작가: 김초엽, 해파리(HAEPAARY)
- 전시총괄: 박제성
- 큐레이터: 박수민 

 

제 2021-524호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 접근성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 1.업체명: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고 112 3.웹사이트:http://www.ieum.or.kr 4.유효기간:2021.05.03~2022.05.02 5.인증범위:이음 온라인 홈페이지 |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47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제5항에 따라 위와 같이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를 발급합니다. 2021년 05월 03일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