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음 온라인 > 문화소식 이음 온라인 > 문화소식_ > 막대뚝딱 피지컬 – 뿔난오니
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화소식

뮤지컬 막대뚝딱 피지컬 – 뿔난오니

ACC 모두를 위한 극장
음성해설 문자통역 수어통역
관람연령 5세 이상 2019년 출생까지
막대뚝딱 피지컬 뿔난오니 접근성 공연
2024년 11월 15일 금요일부터 11월 17일 일요일까지
금요일 오전 11시, 오후 7시. 토요일 오전 11시, 오후 3시. 일요일 오후 2시.
주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후원: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종료

막대뚝딱 피지컬 – 뿔난오니 간단한 소개 테이블
일정

2024년 11월 15일(금)~11월 17일(일)

관람시간 금 11시, 19시 / 토 11시, 15시 / 일 14시
입장료 무료
장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어린이극장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38)
예매 재단 홈페이지 / 매표소 / 콜센터
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주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후원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접근성 정보
SNS

요약설명

막대뚝딱 피지컬 – 뿔난오니

 

공연기간: 2024년 11월 15일(금)~11월 17일(일)
공연장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어린이극장
공연시간: 금 11시, 19시/토 11시, 15시/일 14시
관람시간: 50분

 

제작: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신비한움직임사전
주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후원: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문의: 1899-5566


접근성 안내


ACC 모두를 위한 극장 <막대뚝딱 피지컬-뿔난오니> 공연은 장애인 관객의 극장 접근성을 포함하여 모두가 편안한 공연 관람을
위해 사전 정보를 제공하는 음성소개와 수어 통역 안내 영상, 소리를 문자로 전달하는 문자통역 서비스, 모두가 함께 감상할 수 있도록
장면을 설명하는 개방형 음성해설, 그리고 대사를 몸짓과 수어로 표현하는 한국 수어 통역이 함께 제공됩니다.


음성해설 연극 장면을 읽어주는 음성해설, 모두가 함께 들어요
자막해설 무대 위 중앙, 음성정보가 제공되요
수어통역 수어통역배우가 함께 참여해요

 

• 쉬운 공연 안내를 지향해요
• 시각장애인의 안내견 동반을 환영해요

 

예매하러 가기(클릭 시 이동)

 

자세한 소개

공연소개


"색과 모습은 달라도, 우리 친구할 수 있을까?"

 

막대뚝딱 피지컬 <뿔난 오니>는 일본의 동화작가 故 하마다 히로스케 作 <울어버린 빨간 오니>의 재미와 감동을 오브제x신체극으로 재해석한 작품입니다. 어디로 튈지 모르나 '주고받을 때 더 의미 있는 공'을 따라 전개되는 이야기 속에 다양한 소품과 신체 언어를 활용한 2인극으로, 어린이 공연의 대중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줄거리


어딘지 모를 깊은 숲 속, 우연히 날아온 공 하나.
홀로 지내던 빨간 오니는 함께 공놀이 할 친구를 찾지만,
이를 지켜보던 나무꾼은 오니가 사람을 속여 잡아먹으려는 수작이라고 의심하네요?
걸음아 나 살려라 도망치는 나무꾼의 뒷모습에 한껏 실망하는 빨강이,
'그냥 놀자고 한 것 뿐인데 ... '
이때 불쑥 찾아온 친구 파랑이가 사람들의 오해를 풀 수 있는 엉뚱하고도 기발한 방법을 제안하는데 ...
과연 빨강이는 사람들과 함께 공놀이를 할 수 있을까요?


*'오니(才二)'는 일본의 요괴로 우리나라에서는 편의상 '도깨비'로 번역하고 있지만, 한국의 도깨비와 일본의 오니는 서로 다른 존재예요.
본 작품에서는 두렵고 낯선 존재로서 관객들이 '오니'를 상상할 수 있게끔 '도깨비'로 의역하지 않고, 일본어 그대로 음차하여 사용하였습니다.


출연진 및 제작진

제작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신비한움직임사전
원안 | 하마다 히로스케 作 <울어버린 빨간 오니>
출연진 | 윤희균, 안혜민


제작진

공동창작 안혜민, 윤희균 | 협력연출 박호빈 | 사운드 디자인 김태환 | 무대미술/의상 조경희 | 조명디자인 윤광덕 | 음향오퍼레이터 안채현


접근성 제공

음성해설, 음성소개 서수연 | 자막해설 서수연, 크리스탈 | 자막오퍼레이터 박정은 | 수어연출/진행 김홍남, 이수현 | 수어통역 유민지, 정지은


단체소개 _ 신비한움직임사전
연극 및 무용활동을 한 두 배우가 '다양한 양식을 가진 하나의 무대'를 만들어 보자는 의도로 결성, 양식적 언어와 이야기의 힘이 만들어내는 완성도 높은 무대를 구현하는 것을 작품의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신비한 움직임 사전>은 신체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직관적인 무대언어를 통해, 어린이 특유의 감각적 세계를 공유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제 2021-524호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 접근성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 1.업체명: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고 112 3.웹사이트:http://www.ieum.or.kr 4.유효기간:2021.05.03~2022.05.02 5.인증범위:이음 온라인 홈페이지 |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47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제5항에 따라 위와 같이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를 발급합니다. 2021년 05월 03일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