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장애인 예술 테이블 토크 <오후 세시 프리퀀시>
종료
일정 | 2021.7.2.(금)-7.30.(금) 매주 금요일 오후3시-5시 총5회 |
|
---|---|---|
장소 | 부산청년센터 만날마루 (중구 남포동) | |
예매 |
선착순신청
![]() |
|
주관 |
부산문화재단
![]() |
|
주최 |
부산문화재단 ![]() |
|
접근성 정보 |
![]() ![]() ![]() |
|
SNS | ||
자세한 소개
장애인 예술 테이블 토크
오후 세시 프리퀀시
프리퀀시(Free+Frequency)의 합성어로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소통하며 주파수 맞추는 노력을 의미
○ 일시: 2021.7.2.(금)-7.30.(금) 매주 금요일 오후3시-5시 총5회
○ 장소: 부산청년센터 만날마루(중구 남포동)
○ 참여방법: 현장-사전 온라인 플랫폼 신청링크 - https://forms.gle/rbEQV7HgK9r4kSP67 (선착순 20명)
○ 배리어프리: 수어통역사, 휠체어석, 큰글자 자료, 안내원 배치 등 제공
○ 문의사항: 051-754-5017
○ 프로그램 안내
7.2. 금 15:00 장애예술과 인권
여는 퍼포먼스 : 모두의 연결을 위한 퍼포먼스 / 진행 황정희(안무가)
"장애여성극단 춤추는 허리의 활동"을 중심으로
패널: 이진희 장애여성공감 공동대표
7.9. 금 15:00 장애인 예술 매개자
장애인 예술 매개자의 역할 - 삼달다방과 장애인인권영화제로 보는 연결의 힘
패널: 이상엽(삼달다방 대표,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대표)
7.16. 금 15:00 배리어프리 문화예술행사 및 축제 기획
배리어프리 문화-예술기획 본질의 이해
"장애를 향한 편견의 벽을 허무는 다원예술축제 페스티벌 나다"를 중심으로
패널: 독고정은 다원예술축제 "페스티벌 나다" 총 감독
7.23. 금 15:00 마을에서 장애 예술인과 공존
마을에서의 장애 예술인 노동과 삶
패널: 서동일 "니얼굴(2020)"감독, 장차현실 만화
7.30. 금 15:00 장애 예술인 창작 공간과 예술의 확장
닫는 퍼포먼스: 무브먼트 프로젝트<도로시>/진행: 허경미(안무가)
장애 예술인 창작 공간 운영을 중심으로 한 예술의 확장
패널: 이승주 서울문화재단-잠실창작스튜디오 매니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