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충정북도 예술인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충청북도 예술인 실태조사 결과 요약 ··1
1. 예술활동 내용 및 분야 ··2
2. 공간 및 교류 ··4
3. 교육 및 훈련 ··7
4. 고용 및 근로복지 ··8
5. 인권 및 권리 ··13
6. 예술정책 및 사회적 가치 ··14
7. 코로나19의 영향, 비대면 콘텐츠 인식 ··16
제1장 서론 ··17
1. 조사 배경 및 목적 ··19
2. 조사 개요 ··19
가. 예술인의 의의 ··19
나. 예술 분야 분류체계 ··20
다. 조사 범위 ··21
라. 조사 기간 ··21
3. 조사 설계 ··22
가. 목표 모집단 ··22
나. 조사 모집단 ··23
다. 목표 표본 설계 ··23
라. 조사표 내용 ··24
마. 응답자 특성 ··25
제2장 조사 결과 ··27
1. 예술활동 내용 및 분야 ··29
가. 활동 예술 분야 ··29
나. 예술활동 현황 ··37
다. ‘예술활동증명’ 보유 현황 ··48
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보유 여부 ··55
2. 공간 및 교류 ··58
가. 창작 공간 보유(자가 또는 임대) 여부 ··58
나. 창작 공간의 크기 및 소유 형태 ··61
다. 예술활동을 위해 가장 필요한 공간 ··70
라. 예술활동 관련 공간이 갖추어진 정도 ··72
마. 예술인 단체 및 협회 가입 현황 ··78
바. 가입한 예술인 단체/협회 활동 ··83
사. 충북지역에서 예술활동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 ··93
아. 충북지역에서 예술활동 시 가장 어려운 점 ··95
3. 교육 및 훈련 ···97
가. 최종학력 ···97
나. 전공한 예술 분야 ··99
다. 정규교육 외 예술 관련 교육 경험 ··102
라. 전문적인 예술교육의 필요도 ··104
마. 예술인에게 가장 필요한 재교육 ··106
4. 고용 및 근로복지 ··108
가. 전업/겸업 예술활동 ··108
나. 예술교육 관련 직업 종사 여부 ··113
다. 직업별 1주일 평균 할애 시간 ··115
라. 3년간 고용형태 ··122
마. 연평균 소득 현황 ··126
바. ‘예술활동 직업을 통한 소득’의 주된 소득원 ··133
사. 4대 보험 가입 형태 ··135
아. 예술인 고용보험 가입 여부 ··147
자. 3년간 활동 기간/보수 관련 계약 체결 경험 여부 ··150
차. 계약 체결 현황 ··153
5. 인권 및 권리 ··161
가. 충청북도 예술활동 현황 ··161
나. 예술활동 시 성희롱/성폭행/성추행 직간접 경험 여부 ··169
다. 예술활동 관련 성희롱/성폭행/성추행 심각 정도 ··171
라. 성희롱/성추행/성폭행 등이 발생하는 이유 ··173
마. 성폭력 예방 교육 경험 ··175
6. 예술정책 및 사회적 가치 ··177
가. 충북문화재단 예술인 지원 사업 인지 여부 및 필요도 ··177
나. 충청북도 예술정책 만족도 ··193
다. 예술활동 관련 보조금 사업 신청 및 지원 ··195
라. 충북문화재단의 예술인 지원 방향 ··201
7. 코로나19의 영향, 비대면 콘텐츠 인식 ··204
가. 예술 프로젝트 중단/취소/연기 경험 ··204
나. 코로나19의 영향 ··206
다. 비대면 콘텐츠 관련 인식 ··212
제3장 정책 제언 ···219
1. 실태조사 결과를 통한 정책 방향성 제시 ··221
가. 충청북도 예술인 주요 이슈 ··221
나. 충청북도 예술인 활동 관련 문제점 ···230
다. 충청북도 예술사업 및 정책에 대한 의견 ··232
라. 충청북도 예술사업 및 정책의 방향성 ··236
2. 충청북도 예술활동의 지속가능성 ··242
가. 충청북도의 예술인 지원 현황 ··242
나. 충청북도 예술인 지원정책 방안 ··244
다. 충청북도 예술인 복지지원센터 ··250
부록 ··255
1. 충청북도 예술인 실태조사 자문위원 의견···257
2. 장애 예술인 심층인터뷰 ··259
3. 타 지역 예술인 관련 사업 및 정책 ··261
4. 조사표 ··270
5. 충북문화예술인 DB ··278
6. 예술활동증명 대상자 도출 ··279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