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원 나의 손을 너의 등에 – 되기, 기억하기, 함께 움직이기
종료
일정 | 2024년 11월 13일(수)~2024년 11월 15일(금) |
|
---|---|---|
관람시간 | 오후 1시~오후 5시 | |
입장료 | 무료 | |
장소 |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3층 프로젝트갤러리 (서울특별시 중구 덕수궁길 61) | |
접수 | 구글폼을 통한 접수 | |
주관 |
서울시립미술관
![]() |
|
주최 | 서울시립미술관 | |
접근성 정보 |
![]() ![]() ![]() ![]() |
|
SNS | ||
요약설명
서울시립미술관 모두를 위한 예술프로그램
〈나의 손을 너의 등에 – 되기, 기억하기, 함께 움직이기〉
○ 기간: 2024년 11월 13일 (수)~2024년 11월 15일 (금)
○ 시간: 오후 1시~오후 5시
○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3층 프로젝트갤러리(SeMA L) (서울특별시 중구 덕수궁길 61)
○ 신청 방법: 구글폼을 통한 접수(클릭 시 이동)
○ 신청안내
- 신청기간: 2024년 10월 14일(월) ~ 2024년 11월 3일(일)
- 신청방법: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 선정안내: 2024년 11월 5일(화) 개별 안내 예정
○ 주최·주관: 서울시립미술관
○ 문의
서울시립미술관 송희진 학예연구사 (02-2124-8938)
서울시립미술관 이나현 코디네이터 (02-2124-8906 , djg04130@citizen.seoul.kr)
자세한 소개
○ 프로그램 개요
서울시립미술관 <모두를 위한 예술프로그램>은 장애인을 잠재적 참여자이자 창작자로 바라보고 이들을 포용적인 예술의 맥락에서 조명합니다.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모두를 위한 예술프로그램을 목표로 하며 오늘날 미술관이 모두를 환대할 수 있는 방식이 무엇인지, 이를 위한 연대를 고민하고 실천하고자 합니다.
김원영×손나예×하은빈의 「나의 손을 너의 등에 - 되기, 기억하기, 함께 움직이기」는 다양한 몸의 조건을 가진 참가자들이 서로의 몸과 움직임을 이해하고, ‘나’의 신체로 ‘너’의 몸이 되어 움직임을 수행하는 - ‘되는’ - 법을 탐구합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서로의 몸에 각인된 기억을 나누고, 특정한 질병이나 장애의 이름으로서가 아닌 각자의 이야기로서 서로의 몸에 대해 배우며, 궁극적으로 함께 움직이는 데 필요한 경험과 지혜를 익히게 됩니다.
○ 회차별 세부 진행 내용
1회차: 11월 13일 (수) 13:00-17:00
각자의 앉기, 서기, 눕기 등 여러 동작을 수행하며 자신의 몸을 탐색하고 서로의 몸이 ‘되기’, 함께 돌보기, 엉키기 등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몸을 만듭니다. 이 후 편지쓰기 및 낭독하기 활동을 통해 서로의 컨디션을 이해하고 소감을 나눕니다.
2회차: 11월 14일 (목) 13:00-17:00
누군가의 몸을 단지 ‘모방하기’를 넘어 그 사람의 몸으로 살아보고, 표현해 보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탐구합니다. 이 후 인터뷰, 글쓰기 및 발표를 통해 각자의 의견을 나눕니다.
3회차: 11월 15일 (금) 13:00-17:00
1,2회차의 신체활동 및 느낀점을 토대로, 다른 몸에 깃든 이야기, 기억, 그 몸들과 함께 미술관 공간 내에서 움직여봅니다. 그리고 그 움직임들을 모아 미술관이라는 공간, 그 곳을 오가는 관람자들과 연결되기를 시도하는 쇼케이스를 진행합니다.
○ 진행
김원영 작가/공연창작자
무용과 연극을 합니다. <현실원칙>(2023), <무용수-되기>(2020-2023)을 포함한 여러 공연에 출연했고,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2018)>, <온전히 평등하고 지극히 차별적인>(2024) 등 장애와 인권, 예술과 정체성의 문제를 아우르는 글쓰기를 하고 있습니다.
손나예 안무가
타인의 고통과 나 사이의 간극에 마음이 계속 머물어 그와 관련된 안무 작업을 이어 왔습니다. 그에 관련된 작업으로 <동선>(2019) ,<형상실험>(2020), <안녕히 엉키기>(2023) 등의 작업이 있습니다. 최근 그 간극에 관한 마음 또한 사랑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하은빈 작가/공연창작자
글을 쓰고 공연을 합니다. <연인들은 바닥없는 호수에서 헤엄친다>(2017-2018), <멀리 있다 우루는 늦을 것이다>(2022), <단명소녀 투쟁기>(2022), <한 방울의 내가>(2024) 등에서 움직임을 만들거나 직접 움직였습니다. 불구의 몸, 상한 마음, 잘못한 사람에 관심이 있습니다.
○ 운영안내
- 본 과정은 장애인 참여자 및 전 회차 참석 가능자를 우선 선발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은 참여자에 따른 배리어프리(문자, 수어통역 등) 환경을 지원합니다.
- 기록용 사진 및 영상 촬영이 진행되며, 이외의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프로그램에 신청하실 경우 위 사항에 대해 동의하는 것으로 인정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은 신체 접촉을 포함합니다.
- 3일차 쇼케이스는 관람객에게 개방된 공간에서 진행되니 신청 시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