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미디어

영상

오디오

문서

문서

접근성 향상 연구 프로그램 교육 도록

  • 제작처 :서울시립미술관
  • 등록일 : 2025-07-11
  • 조회수 :7
바로가기

접근성 향상 프로그램 연계 교육 출판물 안내
서울시립미술관은 “여럿이 만드는 미래, 모두가 연결된 미술관” 비전을 중심으로 미술관을 자주 찾는 관람객뿐 아니라, 잠재하는 관람객을 예측하고, 연구하여, 미술관으로 초대하는 <접근성 향상 연구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서울시립미술관에서 2021년~22년에 진행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미술관의 교육자들이 미술관 접근성 향상 방안을 고민하며 연구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한 사례들을 살펴봅니다. 특히 신체나 정서적 어려움으로 인해 미술관 방문이 힘든 관객 중 시각장애인, 지적장애인, 파킨슨 환자, 시니어 그리고 정서적으로 미술관이 낯설고 어색한 관객의 특성을 고려해 공공프로그램과 매개 도구를 만들고 새로운 접근 방식을 연구·실행한 과정을 기록했습니다.

더불어 미술관의 교육자들이 현장에서 실제로 느낀 경험과 실천을 들을 수 있는 자리를 지면으로 마련하고자 했습니다. 그간 기록되지 않았던 미술관 교육자들의 누적된 고민과 접근성 향상을 위한 실천에 대해 6가지의 시각으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접근성에 대한 고민과 실천의 방법론이 담긴 이 책을 통해 미술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사람들과 연결되고 접근성에 대한 논의가 확장되기를 바랍니다. 

목차
- 기획 글 
- 쉬운 글과 대화로 소통하기
주명희 |  관람객에게 필요한 힌트, 쉬운 글 해설
이수미 |  마음을 열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전시실의 사적인 대화
추여명|  쉬운 글 해설과 관람객의 사적인 해석 사이에서
- 촉각과 소리로 알아가기
장현정 |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동시음성해설 방법론 연구
성연진 | 이야기의 모양: 촉각키트를 활용한 온라인 전시감상
- 몸으로 감각하고 표현하기
이은형 |  파킨슨 환자와 시니어를 위한 무용통합 작품감상 프로그램: 미술관이 주는 설렘을 안고 나이도 아픔도 모두 잊고 춤을 추자
- 2021-2022 서울시립미술관 접근성 향상 프로그램 살펴보기
- 부록 
1. 발달장애인을 위한 쉬운 글 작성 강의자료
2. 전시실의 사적인 대화 참여자 대화록
3. 청소년의 사적인 작품해설 작성 결과물
4. 전시 감상과 대화를 위한 질문카드 

댓글 남기기

제 2021-524호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 접근성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 1.업체명: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고 112 3.웹사이트:http://www.ieum.or.kr 4.유효기간:2021.05.03~2022.05.02 5.인증범위:이음온라인 홈페이지 |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47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제5항에 따라 위와 같이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를 발급합니다. 2021년 05월 03일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