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텍스트 크기

가

고대비

통합검색

툴팁 텍스트

잠깐! 찾고 싶은 정보와 관련 있는 핵심 단어를 적어주세요.

예시) 장애인예술교육 분야 자료집을 찾고 싶을 땐, "예술교육"처럼 핵심 단어를 적어주세요.

추천 키워드

배리어프리 콘텐츠 검색하기

해외 [캐나다] 문화예술기관 실무자 대상 장애예술·문화접근성 리더십 콘퍼런스 개최

  • 등록일 2025-10-27
  • 조회수 12

접근성 및 장애예술 리더십 제고를 위한 ‘디스커버 콘퍼런스’

캐나다 토론토에 소재한, 비영리민간단체 디스어빌리티 콜렉티브(The Disability Collective)는 2025년 10월 9일과 10일 양일간 아키 스튜디오(Native Earth’s Aki Studio)에서 접근성 및 장애예술 리더십 제고를 위한 ‘디스커버 콘퍼런스(DIScover Conference)’를 개최했다. 이번 콘퍼런스는 문화예술기관 종사자, 접근성 활동가, 지역사회 구성원 등이 함께 참여하여 장애인의 예술 분야 접근성 및 포용성 제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취지에서 기획되었다.

 

현장과 실무 중심의 세션, 주제별 토론 등 밀도 높은 내용들로 구성된 콘퍼런스 프로그램

디스커버 콘퍼런스 프로그램은 ‘장애예술의 구조적 불평등과 사회정의’를 주제로 한 질 앤드류의 기조연설을 필두로 ‘음성해설의 발전적 변화’, ‘예술계 캐스팅 시스템의 장애예술인 차별’, ‘다양한 장애 유형을 넘나드는 창작 협업’ 등 현장 실무 중심의 주제별 10개 세션으로 운영되었다.

 

 ▸[기조연설] 장애예술의 구조적 불평등과 사회정의|질 앤드류(Jill Andrew)
장애, 젠더, 인종 정체성에 대한 예술현장의 불평등을 해체하고, 시혜적 관점이 아닌 창의성의 근간으로서 장애예술, 포용적 문화를 바라보기 위한 실천 전략 제시

 

음성해설의 발전적 변화(Creativity in the Evolving Art of Description)|크리스틴 말렉(Christine Malec), 제이제이 헌트(JJ Hunt)
단순 정보 전달을 넘어 예술작품의 감정과 미학을 창의적인 청각 언어로 재구성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 및 관련 사례 시연

 

▸청각장애 공연예술인 주도 연극제작(Nothing about Us Without Us : Partnering with Deaf-Led Theatre Companies)|게이트리 킬링스(Gaitrie Persaud-Killings)
청각장애 배우·연출가 주도 청각장애 연극의 개념 및 작품제작과 협업구조 소개

 

 예술계 캐스팅 시스템의 장애예술인 차별(Casting Disabled Artists)|데이비드 코놀리(David Connolly, 장애인 뮤지컬 연출가) 등
예술계 캐스팅 시스템의 내재화된 장애예술인 차별구조 분석. 장애인 배우를 장애 역할로만 한정하지 않는 포용적 캐스팅 원칙. 오디션 공간, 캐스팅 프로세스, 장애인 배우를 위한 맞춤형 대본 및 리허설 지원 등 접근성 기반 캐스팅 시스템 구축 사례 공유

 

모두를 위한 홍보마케팅(Accessible Marketing)|빌 아다이르(Bill Adair, 액세스나우 AccessNow 공동 설립자) 등
웹 접근성, 이미지 설명, 색 대비, SNS 콘텐츠 등의 접근성 개선을 위한 실천적 방법론 소개. 장애예술인이 직접 제작한 시각 디자인, SNS 캠페인 사례 소개

 

다양한 장애 유형을 넘나드는 창작 협업(Cross-Disability Collaboration)|에밀리 맥스웰(Emily Maxwell, 디스어빌리티 콜렉티브 디렉터) 등
청각, 시각, 지체 등 서로 다른 장애 유형을 가진 예술가 상호 간 창작 협업 모델 제시. 공동 작업과정에서의 의사소통, 장애인 당사자 주도 리더십 사례 소개

 

 장애친화적 근무환경(Cripping Your Workspace)|마조리 챈 Marjorie Chan 등
장애인 정체성을 비판적으로 재해석하는 크립(Crip) 개념을 기반으로 문화예술기관 내부 근무 환경을 어떻게 포용적으로 재설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

 

장애정의 입문(Introduction to Disability Justic)|사이러스 웨어 Syrus Marcus Ware (장애예술가 겸 대학교수)
장애정의(Disability Justice) 개념의 역사와 원칙, 흑인·퀴어 장애예술가들의 협력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장애인의 사회문화적 권리를 단순한 권리 보장에 그치지 않고 집단적 해방(Collective Liberation)의 관점으로 접근

 

릴랙스드 퍼포먼스(Relaxed Performances)|잭 호크(Jack Hawk), 레이첼 막스(Rachel Marks)
감각 및 신체적 특성이 다양한 관객을 위한 릴랙스드 퍼포먼스의 개념, 배우와 관객 간의 경계를 완화하는 포용적 공연장 모델 소개

 

통합적 무대언어로서의 수어(Integrating ASL Into Performance)|크리스 도드(Chris Dodd, 청각장애 극작가 겸 배우) 등
공연에서 사용되는 수어의 기능을 단순 통역이 아닌 예술적 무대언어로 통합하는 방법론, 장애·비장애 관객 모두에게 의미 있게 다가가는 공연 디자인 전략 제시

 

백스테이지 접근성 개선(Better Backstages)|메간 메리간(Meghan Sivani-Merrigan, 에이펙스 아츠 액세스 컨설팅(Apex Arts Access Consulting) 설립자
백스테이지, 리허설룸, 분장실 등 공연 제작 공간의 접근성 개선 방법 소개. 소규모 예산 단체에서도 적용 가능한 저비용 접근성 설계 아이디어 공유

 


▶디스어빌리티 콜렉티브 디스커버 콘퍼런스바로가기

제 2021-524호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 접근성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 1.업체명: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고 112 3.웹사이트:http://www.ieum.or.kr 4.유효기간:2021.05.03~2022.05.02 5.인증범위:이음온라인 홈페이지 |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47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제5항에 따라 위와 같이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를 발급합니다. 2021년 05월 03일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