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을 발휘하고 증명하는 협업의 도구들
부제 : 톤그레이 프로젝트의 음악하는 자세
필자 : 천필재 작곡가·사운드디렉터
누구든 어떤 것이든 즐기기 위한 실무
부제 : 가치관이 아닌 접근성
필자 : 안희제 작가
정치적이고 예술적이며 미학적인, 창작의 불꽃
부제 : 이음새 날다⑤ <키아라 베르사니: 또 다른 시각을 포착하는 작품창작> 관람기
필자 : 이음새 1기 정유경
장애예술 정보로 소통하기 - 꾸준히 더 많이 더 가까이
부제 : 이음온라인 서포터즈 ‘이음새’에게 듣는다
필자 : 김아영, 우연수, 이지홍, 정유경
낯설지만 따뜻한 환영의 인사, 만반잘부!
부제 : 이음새 날다③ 전시퍼포먼스 <우리가 처음 만났을 때> 관람기
필자 : 이음새 1기 정유경
정책과 현장 사이, 사회적 문해력이 필요하다
부제 : 장애인 예술과 예술교육
필자 : 백령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연구원
‘모두’를 위한 예술 환경
부제 : 장애인 예술 접근성 서비스
필자 : 김선형 (재)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사업운영팀 과장
감각의 전복 이후, 넓어진 세계
부제 : 배리어프리가 창작의 기본값이 되기까지
필자 : 이래은 연출가
창작의 접근 방식과 인식의 전환
부제 : 왜 포용적 예술인가
필자 : 최석규 아시아나우 프로듀서
각자의 문화를 존중하고 모두의 편의를 고려하기
부제 : 공연장 접근성 가이드③ 문자통역
필자 : 문영민 장애예술 연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