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의 역설, 모순되고 아름다운 삶과 예술의 경험
부제 : 극단 애인 ≪배우수업: 장애배우의 연기로부터 장애미학의 탐색으로≫
필자 : 문영민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선임연구원
혼자이되 함께, 의존하되 주도적으로
부제 : 0set 프로젝트 <일+일+일=삶>
필자 : 김라현 장애인지원주택 코디네이터
또 다른 출발점에서
부제 : 장애인문화예술극회 휠 <생일파티>
필자 : 유연주 연극평론가
다양한 감각과 비평언어로,
시끄럽고 자유롭게
부제 : [좌담] 장애와 예술 사이, 무엇을 읽을 것인가
필자 : 강희철·김시락·박하늘·문영민
보편성과 고유성 사이를 탐색하기
부제 : 2022년 우리가 주목한 ‘공연‧프로젝트’
필자 : 프로젝트 궁리
극장 문을 나서는 사람들
부제 : 서울시극단 <등장인물>
필자 : 양근애 연극평론가
폭력에 지친 서로를 보듬는 따뜻한 포옹
부제 : 임시극장 <노랑의 보색은 검정이다>
필자 : 이성수 배우
매끄러운 장애예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부제 : 이정표를 세우기
필자 : 문영민 장애예술 연구자
심장을 때리는 메시지, 상상으로 채워지지 않는 이미지
부제 : 국립극단 <로드킬 인 더 씨어터>
필자 : 이성수 연극배우
모두가 온전히 연결되고 참여하는, 창작의 태도
부제 : 2021 우리가 주목한 ‘공연‧다원‧축제’
필자 : 프로젝트 궁리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47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제5항에 따라 위와 같이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를 발급합니다. 2021년 05월 03일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class="mark_paper">